지난 글에서 워크온 앱의 설치 방법과 기본 활용법에 대해 소개해드렸습니다.
이번에는 이 워크온 앱을 건강생활 실천 지원금 제도와 연결해,
실제로 어떻게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자세히 안내해드릴께요.
1. 워크온 지원금 연동 방법 – 참여 방법
앱을 설치한 후, 해당 지자체나 기관에서 운영하는 '걷기 챌린지'에 먼저 참여해야 합니다.
- ① 워크온 앱 설치 후 로그인
- ② 앱 내 ‘챌린지’ 메뉴 클릭
- ③ ‘지역’, ‘기관’ 또는 ‘공단’ 이름으로 챌린지 검색
- ④ 원하는 챌린지를 찾았다면 ‘참여하기’ 클릭
예시: 서울시민이라면 “서울걷기챌린지”, 경기도민은 “경기만보도전”, 건강보험공단 대상자는 “건강생활실천챌린지” 등
※ 주의: 단순 걷기만으로는 실적이 인정되지 않으며, 반드시 챌린지 참여 등록이 필요합니다.
2. 실적 인정 기준 – 몇 걸음을 어떻게 걸어야 할까?
지원금은 그냥 ‘많이 걷는다’고 주어지는 게 아니에요. 각 챌린지에는 주간 또는 월간 걸음 목표가 있고, 이를 일정 비율 이상 달성해야 포인트가 지급돼요.
실적 조건 예시는 아래와 같아요:
- 하루 7,000~10,000보 목표
- 주 5일 이상, 최소 12주 이상 유지
- 전체 기간 중 80% 이상 참여 시 인정
📌 하루 이틀 걸음을 빠뜨리더라도, 전체 목표의 80%를 넘기면 실적 인정이 가능합니다.
📌 실적 확인은 워크온 앱 ‘마이페이지 → 챌린지 현황’ 메뉴에서 누적 걸음 수, 달성률 등을 직접 확인할 수 있어요.
3. 포인트 받는 방법 – 실천하면 자동 적립되나요?
많은 분들이 실적 달성 후 “포인트는 자동으로 들어오나요?”라고 묻는데요, 기본적으로는 챌린지를 운영하는 주체가 포인트 지급을 승인해야 들어옵니다.
챌린지가 끝나면 아래 과정을 따라 주세요:
- ① 앱에서 챌린지 완료 여부 확인
- ② 운영 기관 안내에 따라 결과 제출 또는 자동 승인 대기
- ③ 결과 확정 후 1~2주 이내 포인트/지역화폐 지급
지급 방식 예시: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포인트 (건강in 통합포인트로 사용)
- 지방자치단체: 지역화폐 또는 모바일 상품권
- 일부 병원/기관: 건강검진 비용 감면, 경품 등
📌 각 기관별 지급 방식은 다르므로, 챌린지 참여 시 안내문 또는 문의처를 꼭 확인해 주세요.
4. 주의사항 – 실적 누락되지 않으려면
아무리 열심히 걸어도, 설정이 잘못돼 있으면 실적이 누락되는 경우가 있어요. 아래 항목을 꼭 체크해 주세요:
✔ 백그라운드 실행 허용: 워크온이 항상 켜져 있어야 걸음이 측정됩니다.
✔ 위치 정보, 건강앱 연동: ‘삼성헬스’ 또는 ‘애플 건강’과 동기화 설정 필요
✔ 앱 주기적 실행: 하루 1~2번 앱을 열어주면 데이터가 정확히 동기화됩니다.
※ 챌린지 기간 중 중도 탈퇴하면 실적은 모두 무효 처리되므로 주의하세요.
마무리 – 워크온과 지원금 연동, 어렵지 않아요
워크온 앱은 국가와 지자체가 건강을 응원하는 보상 시스템과 연결된 창구예요.
하루 7,000보 걷기부터 시작해서, 건강도 챙기고, 포인트도 받고, 자기만족도 느끼는 건강 루틴.
지금 워크온을 켜고, 챌린지를 찾아보세요.
생각보다 가까운 곳에서, 나의 건강을 지켜주는 제도가 기다리고 있을지 모릅니다.
※ 이 글은 2025년 기준 워크온 앱 안내 및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자체 건강사업 운영 지침을 바탕으로 작성된 정보성 콘텐츠입니다.
참여 조건 및 포인트 지급 여부는 운영 기관별로 달라질 수 있으니 반드시 사전 확인 바랍니다.